전대협 역대의장 오영식 국회의원 낙하산
오영식(51) 코레일(한국철도공사) 사장이 11일 사장직에서 물러난 것은 형식적으로는 ‘자진 사퇴’지만 사실상 ‘경질’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최근 잇달아 발생한 철도 사고가 전문성 없는 ‘낙하산 인사’로 조성된 근무 기강 해이 때문이라는 비난이 쏟아지면서, 청와대 등 여권도 오 사장을 안고 가기에 부담이 너무 컸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3주간 11건이나 일어난 열차 사고에 책임을 지고 이날 오전 물러난 오 사장은 지난 2월 취임 때부터 ‘캠코더(캠프·코드·더불어민주당) 출신 낙하산 인사’ 논란에 시달렸습니다. 철도 분야 경력이 전무한 오 사장은 고려대 총학생회장과 전대협(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 2기 의장을 지낸 ‘586’ 운동권 출신의 3선 의원입니다.
취임사에서부터 동반자적 노사관계 등을 강조한 오 사장은 실제로 취임 이틀 만에 파업에서 해고된 노조 98명의 전원 복직을 약속하는 파격 행보를 보였습니다. 이후 10개월의 재임 기간 내내 친(親)노조 정책이 단행됐습니다. 4월 해고 노조원 98명 중 65명이 1차 복직했고, 7월에는 KTX 해고 승무원 180여 명의 특별채용에 합의했습니다. 8월에는 7000명에 달하는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약속했습니다. 노사관계 개선 외에 오 사장의 관심은 남북철도 연결과 SR(수서고속철도 운영회사)과의 통합에 집중됐습니다.
오송역 단전 사고 후 오 사장은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안전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이후에도 사고가 이어졌고, 지난 8일에는 강릉선 KTX 열차가 탈선하는 사고까지 벌어졌습니다. KTX 열차 탈선은 2011년 이후 7년 만입니다.